답은 여러분들 각자가 공부하면 알 수 있을 것 같아요.

문항 1 예시

다음은 어느 해부 발생 유전학자가 수행한 연구의 대략적 전략이다.

Untitled

시신에서 각각의 세포를 배양한 후, 이들의 전장 유전체 분석 결과 (Whole Genome Sequencing)와 자연적으로 세포에 발생하는 돌연변이 (Variant - mutation)를 이용하면, 온 몸에 있는 각각의 세포가 평생 동안 거쳐온 "개별 세포 역사"를 알 수 있다.

이와 같은 실험 방법을 기초하여, 기증된 시신으로 발생학 연구를 수행한다고 했을 때, 이 연구를 통해서 나타난 결과에 가장 가까운 "첫 번째 분열 결과 생긴 자손 세포들의 온 몸 분포 양상"은 어떤 결과로 귀결되는가?

(아래 표시된 네 가지의 bar는 각각 위에서부터 Blood, muscle, intestine, hair follicles 등의 개별 조직의 자손 세포 A, B의 분포 비율을 나타낸다.)

① Symmetrical Cell Dynamics

Untitled

② Asymmetrical cell dynamics with equal contribution to organs

Untitled

③ Asymmetrical cell dynamics with unequal contribution to organs

Untitled

문항 2 예시

다음은 1902년 Journal of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ladelphia에 게재된 Edwin G. Conklin의 "The organization and cell lineage of the ascidian egg"의 실험 결과 그림이다.

이 논문은 발달 생물학 연구의 모델 유기체가 된 ascidian이라고 불리는 해양 무척추동물의 배아 발달 과정을 설명했다. 이 논문은 발생학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성을 가진다.